제목 | 외연도 전횡 장군제 |
---|---|
구분 | 민속/전설 |
내용 | 외연도(外煙島) 전횡(田橫) 장군제(將軍祭) 이민족(異民族)의 인신(人神)을 부락집단 신앙의 수호신(守護神)으로 하여 그 신(神)에게 그들의 생활안정을 의탁해 오고 있는 섬마을이 있다. 즉 옛날 제국(齊國)의 전횡(田橫)이라는 장군신(將軍神)을 봉안하고 그 신(神)에게 온갖 정성을 바쳐 그들의 안심입명(安心立命)을 기(期)해 오고 있는보령시오천면 외연도리 주민들에게서 그러한 생활의 일면을 찾아 볼 수 있다. 이처럼 이민족신(異民族神)에게 집단생활의 안정을 의탁해 온 예가 전혀 없지않으나 충남(忠南)지역내에서 흔치 않은 민간 생활의 단면이라 할 수 있다. 외연도(外煙島)는 충남(忠南)의 도서중 내륙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외딴 섬이다. 근(近) 100호 (戶)의 가구에 500여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이곳을 찾는 이들의 눈에 제일 먼저 나타나는 것이 이곳 당산(堂山)의 동백수들로 천연기념물 제136호의 상록수림(常綠樹林)은 이 섬의 상징이라 할 수 있다. 더욱이 여기 당산(堂山)에는 산신단과 당사(堂舍)가 있어 주민들은 이 숲속 전체를 극히 신성시(神聖視)하여 왔다. 그리하여 6ㆍ25직후 이곳의 민속조사(民俗調査)를 왔던 국립조사단원들 조차 이 숲속에 접근을 못하고 되돌아 갔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그러나 이제는 주민들의 의식도 변해서 10년전 육지의 모인(某서면 정면에 전횡장군신위의 위패가 보이고 그 곁에 전횡이 팔이라 일컫고 있는 소저아씨의 신위(神位)가 보인다. 그리고 좌우로는 당산신위(堂山神位) 도당신위등의 위패가 보인다. 한편 이러한 신위의 면전(面前)을 스친 느림(왼새끼줄)위에는 여인의 저고리와 길지(창호지)가 걸려있고 그 아래에는 코티분을 비롯 나이롱, 머 리빗, 거울, 댕기 등이 흩어져 있다. 그리고 당내의 한쪽 구석에는 커다란 두 개의 항아리가 놓여 있고 그속에는 수십점의 여자옷이 차곡차곡 쌓여있다. 원래 이곳의 당제(堂祭)는 4월 11월등 연 3회에 걸쳐 실시 되었으나 5년전부터는 4월제 한번만 을 거행해 왔고 이 제를 이곳 주민들은 전횡 장군제(田橫 將軍祭)라 부르고 있다. 제일(祭日)은 4월중 길일(吉日)을 택하여 거행되며 늦어도 제15일전까지는제주(祭主)를 선정해야 한다. 선정된 제주는 그날로부터 몸의 부정을 금해야하며 특히 제물을 만들때는 절대 부정한 일이 있어선는 안된 다 하여 해방전까지만해도 제물을 만들 때 소변을 보려면 나무젓가락으로 근(根)을 꺼내 변(便)을 보고 목욕을 해야 하였다 한다. 제의는 제일의 오전에 제주가 당산입구「하밭」이란 곳에서 몽둥이를 곁에놓고 당사를 향하여「미련한 인간들이 잘못하는 일이 많지 잘하는 일이 많겠으리까마는 굽어 살펴 주시옵소서」하는「등장」으로부터 시작된다. 이어 제주는 그 몽둥이를 들고 산신단으로 올라가 그 물로 단을 정결히 닦고 이어 사당으로 내려와 역시 동이의 물로 그곳을 깨끗이 닦아내면 이어 제물이 진설되기 시작한다. 그리하여 초야(初夜)에 산신제를 거행하고 자정이 되면 전횡장군제를 지낸후 다음날 새벽 하산길에 옛날 제물을 훔쳐먹고 즉사했다는 총각 김서방을 위하여 고기 한점, 떡 한쪽, 술 한잔을 부어 놓은 후 곧장 하산 하여 부락앞 해변의 방파제끝에와 용왕제(龍王祭)를 거행한다. 용왕제가 끝나면 김밥 세덩이를 바다에 던지는 허식(許食)이 있고 이어 파제에 들어간다. 파제는 온 주민들이 한자리에 모여 온종일 먹고 마시며 춤을 추고 노래하고 농악을 울려대는 즐거운 놀이로서 노소를 불 문하고 흥을 돋울 일이면 서슴없이 진행된다. 따라서 이 파제는 주민들의 가장 고대하는 년중행사이다. |